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출구조사 발표 시간 발표 시간 알바 방법 결과 표본 수 뜻 신뢰도

by Fact One 2022. 6. 1.
반응형

1. 프로필

2. 개요

출구조사(出口調査, Exit poll)란, 선거의 여론조사 중 한 가지로, 투표소 근처에서 투표를 마치고 출구로 나오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누구를 찍었는가를 조사해서 통계를 내 활용하는 여론조사이다.
투표소에서 투표를 하고 나오는 사람들을 직접 조사하기 때문에 일반 여론조사보다 훨씬 정확도가 높다고 알려져 있다.
1967년 미국의 CBS에서 출구조사를 시행한 것을 시초로 1968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출구조사 결과가 실제 개표결과와 거의 비슷한 결과로 나오면서 빠르게 출구조사가 전 세계로 확산되었다.

3. 정확성

한국에서는 대통령 선거, 지방선거의 경우 출구조사 정확성이 어느 정도 담보되지만,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유독 예측에 실패하는 경우가 많다.
대통령 선거의 경우 지상파 주관 출구조사에서는 득표율을 제외한 당선 유무는 적중률 99%라고 봐도 무방하며, 지방선거의 경우 최소 광역자치단체장 선거에서는 적중률이 21세기 이후로는 97% 정도다.
21세기 이후 치뤄진 모든 92건의 광역자치단체장 선거 중 86건의 출구조사가 이뤄졌는데, 당선 유무 예측 조사가 실패한 경우는 단 세 차례에 불과하다.
출구조사의 의의는 당선자 예측 말고도 하나 더 있는데, 바로 선거 개표 결과 만으로 알 수 없는 정보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지역별, 읍/면/행정동/투표소별 정당/후보 지지의 경우 실제 개표 결과를 보면 그 정보를 알 수 있지만, 성별, 연령별, 학력별, 직업별, 소득수준별, 정치성향별, 주거형태별 정당/후보 지지율 및 줄투표&교차투표 여부 같은 정보는 선거가 비밀 투표 원칙에 따라 치러지기 때문에 개표만으론 알 수가 없다.
하지만 출구 조사를 이용하면 약간의 오차는 있을지언정 이들 정보를 비교적 정확하게 뽑아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성별/연령대별 투표율의 경우 선관위 집계의 경우 대략 3개월 정도 걸리지만, 약간의 오차가 있을지언정 출구조사를 통해서 바로 알 수 있다는 장점도 존재한다.
한국의 경우 연령별/성별 지지율의 경우 대통령 선거에서는 매번 바로 공개되고 전국동시지방선거의 경우에도 서울시장(오세훈 vs 한명숙)이나 경남도지사(김경수 vs 김태호) 같은 빅매치를 비롯한 시/도에 한하여 선거때마다 공개되지만, 국회의원 선거의 경우 각 지역구에서의 연령별/성별 지지율이 공개되는 경우는 19대 총선에서 사상구, 고양시 갑 과 21대 총선에서 종로구, 동작구 을, 광진구 을 외에는 공개된 적이 전무하다.
사실 출구조사 본연의 기능은 어디까지나 후보들의 득표율을 예측하는 것이기 때문에, 당선자 적중률로만 출구조사의 정확도를 논하는 것은 조금 어폐가 있다.
예를 들어서 신뢰수준 95% 기준 표본오차가 ±2%인 예측조사에서 A후보가 득표율 50%, B후보가 49%로 예측되었는데, 실제 개표결과는 거꾸로 B후보 50%, A후보 49%였다면 (당선자 예측에는 실패했을지언정) 조사 자체가 빗나갔다고 말하기는 어렵다.
반대로, 똑같은 조건의 예측조사에서 A후보가 득표율 75%, B후보가 25%인데 실제 개표결과에서 A후보 70%, B후보 30%이 나왔다면 이 쪽이 오히려 통계학적 관점에서 예측조사가 빗나간 케이스에 더 부합한다.
물론 당선여부가 더 중요한 선거 특성상 실제로 이런 일이 발생한다면 전자 쪽이 훨씬 비난받고 후자는 묻히겠지만 말이다.

4. 한국의 출구조사

 

5. 1990년대까지

서방권이나 일본에서는 출구조사가 1970년대에서 80년대에 다들 도입되었기는 했지만 국내에서는 출구조사가 1990년대 중반이 되어서야 도입이 되었다.
엄밀히 얘기하자면 출구조사를 도입하려는 시도가 민주화 직후부터 있어왔고 실제로도 1987년과 1992년 대선 당시 한국갤럽에서 선거 3~4일 전 전화 여론조사를 통해 당선자 예측을 하기는 했지만 1987년 대통령 선거때는 아예 국내에서 발표되지 않았고, 1992년 대선 당시에는 MBC를 통해 발표가 되었기는 했지만 이미 개표가 중반일 정도에 발표된 것인지라 당선자를 사전에 당선 예측한다는 전제조건을 충족시키지 못했다.
그 이유는 당시 선거법상으로 개표가 시작되기 전에 당선자 예측을 발표하는 게 불가능했기 때문이었고, 제주MBC의 88년 13대 총선 개표방송 리허설 유출 방송사고로 판세가 뒤집힌 일이나 군 부재자 부정투표 및 초원복집 사건 등의 관권선거 및 권언유착 관행이 남아있던 시절임을 감안하면 사실 당시 기준으로는 섣불리 시도했다가 후폭풍을 잠당하기 어려운 모험이었기도 했다.
하지만 SBS가 어느 정도 자리를 잡아가면서 시청률 경쟁이 격화되어 개표방송을 보다 세련되게 만들어야 할 필요성이 증대되면서 출구조사의 본격적인 도입이 추진되었고, 그 결과 1995년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MBC와 한국갤럽이 전화 여론조사를 토대로 6시에 예측결과를 발표하여 15개 광역단체장 당선자를 전부 맞춘 것을 시초로 삼는다.
그 직후 선거법 위반 논란이 일었지만 사실 일본이나 프랑스, 영국, 미국에서 출구조사가 일반화 되었다는 걸 근거로 해서 12월 공직선거법 개정으로 투표소에서 500m까지 떨어진 곳에서 출구조사가 허용되고 그 다음해인 1996년 제15대 국회의원 총선거에서 시범적으로 출구조사가 도입되었다.
하지만 이 때에는 전화 여론조사 수준에 그쳤고 일부 지역구에만 시행되는 등 문제가 많았다.
신한국당 175석! 하지만 1997년 제15대 대통령 선거 때 MBC와 한국갤럽에서 선거 당일 투표자 조사(전화 여론조사)를 해서 선거 결과를 적중시키면서 출구조사가 본격적으로 정착되었다.

6. 2000년대 이후

2000년 2월 제16대 국회의원 총선거를 앞두고서는 투표소 300m로 기준이 완화되었고, 전화여론조사로만 예측조사를 하는 수준에서 벗어나 80여개 경합 지역구에서 투표소 출구조사가 이루어지기 시작했다.
이에 따라 출구조사는 정확해야 했지만... 망했다.
당시 KBS-SBS에서 새천년민주당 132석, 한나라당 117석, MBC에서 새천년민주당 127석, 한나라당 120석을 예측했는데, 수도권 경합지가 뒤집혔다.
새천년민주당과 한나라당 1당 개표결과가 출구조사와 정확히 반대로 나왔던 것. 그나마 2002년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와 제16대 대통령 선거에서 출구조사가 그나마 정확하게 나왔다.
2004년 3월 제17대 국회의원 총선거를 앞두고는 투표소 100m로 기준이 더욱 완화되었고, 2010년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터는 지상파 3사가 공동으로 출구조사를 시행하고 있고, 2012년 제19대 국회의원 총선거부터는 대상 지역구를 246개 전국 모든 지역구로 확대하고 투표소 50m까지 출구조사 기준이 완화되었다.
물론 출구조사 결과는 투표 마감시간(재보궐선거는 20시, 그 외 선거는 18시)까지 결과를 공개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다만 공식적으로 발표가 되지 않는 것과는 별개로 각 정당 관계자들에게 출구조사 결과를 미리 알리기는 하며, 개표방송 진행자들과 스텝진들도 출구조사 결과는 미리보고, 일부 언론사 관계자들이나 정치부 기자들도 출구조사 결과를 미리 알기는 한다.
다만 미리 출구조사 결과를 발표하면 처벌을 받기 때문에 공개를 안 할 뿐이다.
물론 90년대에 전화조사를 오후 2시 쯤 마감하고 정리했던 초창기라면 모를까 2000년대 와서는 오후 5시에 출구조사 집계를 완료하기 때문에 5시부터 5시 반까지는 대체로 여론조사 기관 직원들이 분리된 공간에서 비공개로 통계 보정 작업을 진행하므로, 실제 출구조사에 참여하는 해당 여론조사 업체 직원들조차 5시 30분 이전에는 정확한 결과를 알 수 없다.
하지만 출구조사가 초접전으로 나오는 수준이 아닌 이상은 출구조사 결과가 최종 선거결과에 영향을 미치기는 어렵다는 건 알 사람은 알기 때문에, 일반인들보다 출구조사 결과를 몇십 분 빨리 안다는 것 외의 큰 의미는 없긴 하다.
어쨌든 투표 종료 시각 몇 십 분 일찍 최종 자료가 나오는 것은 사실이다보니, 선거 때마다 엠바고를 깬 자료랍시고 각종 게시물들이 각 커뮤니티 사이트나 메신저로 돌아다니는 경우가 있기는 하다.
만약 그게 진짜 출구조사 결과치라면, 이 경우에는 여론조사 기관 직원들이나 정치인들 및 선거 캠프 관계자, 일부 기자들을 통해서 공유한 출구조사 자료들이 유출된 경우라고 보면 된다.
물론 낚시꾼들이 훨씬 많기 때문에 당연히 가짜 정보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리고 낮 12시 출구조사 결과니, 오후 3시 결과니 하는 게시물이나 메시지도 있는데, 이건 100% 거짓말이라고 보면 된다.
물론 정당이나 민간 여론조사 회사에서 선거 당일 긴급 전화 여론조사를 돌린 내용이 유출되는 경우도 일부 있기는 하지만, 실제 수행하는 출구조사는 결코 그런 방식으로 중간 결과가 나올 수 없다.
출구조사 마감 시간인 투표 종료 1시간 전까지는 통계 보정 결과가 나오는 것이 불가능하다.
심지어 출구조사가 마감되었다고 하더라도 통계 보정에 일정한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아무리 빨라도 투표 종료시간 2, 30분 이전까지는 출구조사의 최종 결과는 알 수 없다.
참고로 2012년 제18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새누리당 이상일 대변인이 방송3사 출구조사 결과를 전해들은 건 17시 40분이었다고 한다.
20분 먼저 안도하기2017년 제19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심층출구조사가 처음으로 도입되었다.
심층출구조사는 기존 출구조사에서 후보 결정요인, 정치성향, 차기 정부 과제 등 추가 문항을 더해 좀 더 정밀한 추적 조사를 하여 유권자의 표심을 추적하는 조사 방식이다.
그 후 2018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도 도입되었으나 2년 후 21대 총선에서는 코로나19로 인한 확진자, 자가격리자 장기 접촉에 대한 우려 때문에 실시되지 않았다가 2022년 제20대 대통령 선거에서 부활하였다.
2020년 4월 15일에 실시되었던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출구조사는 코로나19 자가격리자의 투표가 오후 5시 20분부터 7시까지로 제한되면서 출구조사 발표도 15분 늦춰졌다.
이로 인해 타 언론사와 포털사이트 등의 출구조사 결과 인용 가능 시각도 15분 연기되었다.
방송3사를 제외한 타 방송사 및 언론매체에서는 정당별 의석수와 1당 예측 결과는 오후 6시 25분 이후, 각 지역구 당선자 예측 결과는 6시 45분 이후에 인용하도록 되어있다.
이때문에 JTBC 예측조사 결과를 받아써먹을지도 실제로 연합뉴스TV에서 두세 번 가량 JTBC 결과를 속보로 내보냈다2021년 4월 7일에 치뤄진 2021년 재보궐선거 출구조사도 코로나19 자가격리자 투표 시간을 고려해 투표 마감 15분 후인 오후 8시 15분 공개되었다.
2022년 제20대 대통령 선거에서도 코로나19 확진자 및 자가격리자 투표 시간(오후 6시 ~ 저녁 7시 30분)을 고려하여 일반 투표 마감 1시간 30분 후인 오후 7시 30분에 공개되었다.
이때도 몇몇 커뮤니티에 출구조사 결과가 약 7시 정도부터 미리 돌았고 7시 20분 경에는 더불어민주당의 우상호 선대위원장이 "초박빙 초박빙! 까봐야 알아!" 라고 상황실에서 전화를 하는 장면이 그대로 송출되기도 했다.

7. 잘 맞지 않는 총선 출구조사

총선 출구조사 때에는 1개 선거구당 조사인이 상대적으로 적은데다가 지역구 국회의원 선거의 경우 국민들이 본심을 숨기는(?) 현상 등이 원인으로 꼽힌다.
특히 출구조사는 5명이 지나갈 때마다 1회씩 표본을 추출하는 체계표본추출법을 이용하지만, 여기에 주로 60대 이상 고연령층 유권자들이 응답거부하는 경우가 흔하다고 한다.
그래서 처음에는 표본의 비율에 따라 열심히 쫓아가서 응답을 받으려고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 그런거 없다.
.. 그냥 아무나 보이는 대로 사람들 나오면 막무가내로 받아가다보니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다는 것. 각종 리서치나 언론 종사자들의 경험에 따르면 나이 든 사람들의 오답이나 거부율이 젊은 사람들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다고 한다.
리서치 관련 전문가들의 추론에 따르면, 일단 젊은 사람들은 나이든 사람들에 비해 사회물이 적게 들어 잔꾀를 덜 부리는 편이기도 하고, 자신의 생각이나 느낌을 윗 세대들에 비해 솔직하게 말할 수 있는 문화에서 살아온 탓이라고 본다.
반대로 나이 든 중장년층일수록 전쟁이나 독재정권, 군사문화 속에서 정직하게 말하면 잡혀가거나 큰 화를 당하는 시기를 거친 세대다.
그렇게 본심을 숨기고 지내야 하는 시기를 거쳤기 때문에 아직도 권위를 두려워하는 노인들도 있고, 말을 해서 자신에게 득이 될 것 같지 않으면 거짓말을 하거나 피해버리는 경향이 젊은 세대보다 강하다고 추론한다.
그래서 2014.06.04, 오마이뉴스 기사와 같은 일들이 자주 생긴다.
시간절약을 위해 기사 마지막 부분을 발췌하자면 '이번 방송3사 공동 출구조사 결과를 보니 진보 측에 다소 유리하게 나왔다.
방심할 수 없는 것은 위의 사례처럼 출구조사 투표를 거부하고 가는 사람들이 있단 것이다.
그 사람들 대부분이 50~60대로, 출구조사에 대한 오해를 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 같은 사례들이다.
실제 여론조사 업계에서는 '전화 여론조사에서는 청년층 여론을 잡기 힘들고, 출구조사에서는 노년층 여론을 잡기 힘들다'는 말까지 있다.
다만 출구조사가 꼭 진보 측에 유리하게 나오는 것은 아니고 양산시 을처럼 2번 연속으로 보수 쪽에 유리하게 출구조사가 나왔다가 결과가 뒤집힌 사례도 있다.
그래서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 총선거 때부턴 각 정당의 예상 의석수의 표시방식이 달라졌고, 첨단 기법(?)도 동원했지만 여전히 못 맞혔다.
안습 기사. 2012년의 경우 사회적 물의를 빚은 후보, 민주당 후보가 나온 곳에 출마한 진보신당 후보를 찍은 사람 등이 민주당 후보를 찍었다고 허위 응답을 하여 예측이 빗나가기도 했다.
그래도 2016년 20대 총선에선 제대로 삽질한 여론조사에 비하면 출구조사 결과가 비교적 정확하게 나오기는 했다.
물론 출구조사 자체 원본과 달리 그를 해석하는 여론조사 기법의 차이 때문에 SBS는 아예 예측범위를 빗나갔지만... 참고로 KBS는 겨우겨우 턱걸이 했고, 제일 정확했던 방송사는 MBC였다.
그리고 역시나 다음 날 뉴스데스크에서 자화자찬했다.
다만 제1당은 맞히지 못했다.
사실 1석 차이라서 맞히기 빡세긴 했다.
한편 2018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출구조사 때는 광역단체장과 교육감 뿐만 아니라 국회의원 재보선 12곳의 득표율과 득표순위까지 오차범위 내에서 적중시켰다.
사전투표율까지 약 20% 선에 달했던 터라, 출구조사에 대한 불안감이 컸지만, 결국 적중시키면서 다음에 있을 총선 출구조사에 대한 자신감을 회복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2020년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출구조사가 또다시 빗나갔다.
KBS, MBC, SBS 방송3사가 동시에 실시한 출구조사에서는 지역구와 비례대표를 합쳐서 더불어민주당은 153~178석, 미래통합당은 107~133석으로 예측했으나 실제로는 더불어민주당 180석, 미래통합당 103석으로 예측 범위를 크게 벗어났다.
지역구 당선인 예측도 전체 지역구 중 14곳에서 승패를 틀렸다.
이는 사전투표율이 역대 최고치를 찍으면서 사전투표자들을 고려하지 않은 부분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방송 3사에서도 이전부터 이를 의식하고 나름대로 보정치를 적용해서 출구조사 결과를 예측했다지만, 결과는 실패였다.
실제 개표단위별 결과를 보면 사전투표를 실시했던 유권자들이 본투표 일에 투표한 유권자들에 비해 어느 지역이건 할 것 없이 더불어민주당의 지지를 훨씬 많이한 것으로 드러나면서 예측 범위를 빗나갈 수밖에 없도록 만들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더불어민주당 김종민 의원의 지역구인 충청남도 논산시·계룡시·금산군은 이번에도 출구조사가 틀리면서 사상 최초로 3연속 출구조사 불발 지역이란 타이틀을 얻게 되었다.
뒤를 이어 같은 당 소속인 김두관 의원의 지역구 경상남도 양산시 을 또한 이번에도 출구조사가 틀리면서 2연속 출구조사 불발 지역이 되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