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cent Posts Top 4
-
Clean Architecture : (5장)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프롬스의 SWDEVLAB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좋은 아키텍처를 만드는 일은 객체 지향 설계 원칙을 이해하고 응용하는 데서 출발합니다. 그렇다면 객체 지향이란 무엇인가? 이 질문에 누군가는 "데이터와 함수의 조합" 이라고 답을 하는데, 그다지 만족스러운 대답은 아닙니다. 달과 니가드가 함수 호출 스택 프레임을 힙으로 옮기고 OO를 발명한 1966년 이전부터 프로그래머는 데이터 구조를 함수에 전달해 왔습니다. 또는.. 더보기
-
Clean Architecture : (4장) 구조적 프로그래밍 프롬스의 SWDEVLAB 구조적 프로그래밍 에츠허르 비버 데이크스트라는 1930년대 로테르담에서 태어났습니다. 2차 세계대전을 견디며 1948년에 수학, 물리, 화학, 생물에서 최고 점수를 받으며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52년 3월, 21살의 나이로 네덜란드 최초의 프로그래머로서 암스테르담의 수학 센터에 취업합니다. 1955년, 그는 이론 물리보다 프로그래밍에 대한 지적 도전이 더 큰 의미가 있다고 생각하고 장기적인 진로.. 더보기
-
Clean Architecture : (3장) 패러다임 개요 프롬스의 SWDEVLAB 패러다임 개요 소프트웨어 아키텍처는 코드로부터 시작합니다. 따라서 아키텍처에 대한 논의도 최초로 작성된 시점부터 우리가 코드를 통해 배운 내용을 살펴보는 데서 출발하고자합니다 1938년 엘런 튜링(Alan Turing)은 컴퓨터 프로그래밍이라고 부르는 분야의 토대를 쌓았습니다. 튜링은 프로그래밍이 가능한 머신을 최초로 상상한 사람은 아니었지만, 프로그램을 단순한 데이터라고 이해한 최초의.. 더보기
-
Clean Code : (3) 함수 프롬스의 SWDEVLAB 함수 프로그래밍 초창기에는 시스템을 루틴과 하위 루틴으로 나누었습니다. 포트란과 PL/1 시절에는 시스템을 프로그램, 하위 프로그램으로 나누었습니다. 지금은? 함수만 살아남았습니다. 어떤 프로그램이든 가장 기본적인 단위가 함수입니다. 이번 포스팅을 하며 함수를 잘 작성하는 방법을 숙지합니다. 작게 만들어라 함수를 만드는 첫째 규칙은 작게! 입니다. 함수는 만드는 두번째 규칙은 더 작게!.. 더보기